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애드센스 수익구조 변화 장단점 분석 | "CPC to CPM"

by Normen P 2023. 11. 5.

목차

    BIG

    구글 애드센스 수익구조 변화
    구글 애드센스 수익구조 변화

     

    최근 구글 애드센스에서 큰 변화를 예고하는 글을 발표하였습니다. 바로 블로그에서 광고 수익을 가져다주는 구조를 기존 CPC > CPM으로 변화시킨다는 내용인데요. CPC가 뭐고 CPM이 뭔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이론부터 천천히 소개해드릴 예정이니 급하신 분들은 목차를 활용하여 빠르게 정보를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CPC (Cost per Click)

    흔히 광고 클릭당 단가라고 많이 알고계시는 CPC란 'Cost per Click'의 약자로 광고를 클릭했을 때 발생하는 비용이라는 뜻을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CPC가 높으면 좋은 걸까요? 낮으면 좋은 걸까요? 

     

    CPC는 광고를 내보내는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낮은게 좋습니다. 반면 광고를 표기해 주는 블로거의 입장에서는 CPC가 높으면 좋습니다. 예를들어 선풍기를 팔기 위해 광고를 만들어 낸 광고주는 소비자가 해당 선풍기 광고를 클릭한 금액이 최대한 낮을수록 더 적은 금액으로 더 많은 판매를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당연히 CPC는 광고가 얼마나 많은 곳에 노출되는가는 상관없이 무조건 해당 광고를 클릭하여 액션을 취해야만 CPC 비용이 발생합니다.

     

    CPM (Cost per Mille)

    광고 CPM은 'Cost per Mille'의 약자로 1,000번의 노출당 광고 수익을 얻는 방식입니다. 현재 애드센스도 해당 CPM이 적용은 되고 있지만 그 금액이 아주 미비하여 티가 잘 안 나고 있습니다. 가끔씩 0.01달러가 들어오는 경우가 바로 CPM으로 인한 수익입니다.

     

    애드센스 수익구조 변화

    구글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기존 애드센스 수익구조에서 크게 2가지가 변경될 예정입니다. 첫번째는 광고를 집행하는 플랫폼인 구글 애즈의 변화, 두 번째는 CPC에서 CPM으로의 수익구조 변화입니다.

     

    1. 구글 Ads 변화

    구글 애드센스는 들어봤어도 구글 애즈(Ads)는 뭐하는거지? 하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구글 공식 블로그에도 설명이 되어있지만 사실상 어렵게 나와있어 이해하기 조금 까다롭습니다. 쉽게 이해시켜 드리기 위해 현재 구조를 간단하게 나타냈습니다.

     

    구글 수익구조 변화 Ads
    구글 수익구조 변화 Ads

     

    위 그림을 보시면 현재 광고주 > 구글 애즈 > 애드센스 > 블로거 의 순서대로 광고 구조가 짜여 있습니다. 아래 순서를 이해하시면 현재 구글 광고 구조를 이해하시기 편하실 겁니다. 

     

    1. 광고주가 1달러로 구글 애즈에서 광고를 집행 (1달러)
    2. 구글 애즈(Ads)는 광고 집행 수수료로 15% 가져감 (1달러 -> 85센트)
    3. 1달러에서 15%를 뺀 나머지 85센트를 가지고 애드센스가 블로거와 연결시켜줌
    4. 여기서 애드센스가 해당 85센트에서 20%를 수수료로 가져감 (85센트 -> 68센트)
    5. 우리(블로거)들은 최종적으로 68센트를 가져감

     

    위 과정이 현재 구글 광고 구조입니다. 결국 광고주가 낸 1달러에서 우리 블로거들이 가져가는 비용은 68센트인 거죠. 수수료를 본인들이 많이 가져갈 수도 있겠지만 구글은 대기업이기에 그렇게까지 착취하지는 않는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어떤 점이 변화될까요? 

     

    현재 광고주가 광고를 집행하고 맡기는 곳은 구글 애즈(Ads)에서만 유일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제3의 플랫폼에서도 광고 집행이 가능하게 변경됩니다. 현재는 구글 애즈에서 15%의 수수료만 가져갔지만 다른 플랫폼에서는 그들만의 규정대로 수수료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20% 혹은 30%가 될 수도 있는 거죠. 

     

    결론적으로 지금까지는 구글에서 모든 광고 집행을 맡아서 하였지만 타사 플랫폼이 참여하여 광고 집행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우리가 받을 수 있는 수수료가 높아질 수도 혹은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타사 플랫폼이 참여한다면 아마 구글보다는 높은 수수료를 받지 않을까 싶네요.

     

    2. CPC에서 CPM으로

    클릭당 단가를 받는 구조인 CPC는 광고를 꼭 '클릭'해야만 받을 수 있는 구조였습니다. 이제 클릭을 하지 않고 노출만으로도 수익이 발생하게 되는 구조로 변화됩니다. 이렇게 변화한다면 우리는 어떤 이득과 손해가 있을까요?

     

    실제로 구글에서는 이러한 발표에 앞서 미리 시험해 보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바로 특정 블로그를 통해 기존 CPC로 벌어드리는 수입과 비교하여 CPM 단가를 측정한 것이죠. 

     

    결론적으로 CPC로 발생하는 일정 수입량과 CPM으로 발생되는 수입을 일치시켰다는 말이 됩니다. 우리 블로거들은 수입적인 측면에서는 안도의 숨을 내쉬었지만 아직 변화된 것을 직접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섣불리 좋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또 한 가지 좋은 변화라고 느끼는 이유는, 굳이 광고를 특정 위치에 위치시켜 클릭을 유도하는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노출과 클릭의 차이는 굳이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광고를 분석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는 글 쓰는 데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라는 점입니다. 

     

    그럼 광고를 여기저기 많이 달아놓으면 많이 버는 게 아닐까? 

     

    참고로 애드센스 광고는 여러 군데에 표기한다고 해서 다 새로운 광고가 표기되는 것이 아닙니다. 때문에 굳이 많은 광고를 붙여놓아 사용자의 이탈을 불러일으킬 필요가 없습니다. 구글의 공식 블로그에서도 이점은 지금과 똑같은 정책으로 관리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애드센스 정책 변화는 언제?

    공식 블로그의 글에 따르면 빠르면 내년 초에 진행된다고 밝혔습니다. 즉 2024년 1월~3월까지라고 봐도 무방할 듯합니다. 얼른 정책이 변화되어 새로운 수익구조를 느껴보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득이 많을지, 실이 많을지는 각 블로그마다 다를 것으로도 보입니다. 

     

    정책 변화에 대한 개인적 의견

    20년 만에 구글 애드센스 수익구조 변화에 대해 제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득이 더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굳이 광고를 클릭하지 않아도 노출만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면 광고 내용에 굳이 중점을 둘 필요가 없으며 모든 광고에 대해 수익을 얻을 수 있으니 우선은 좋은 점이 더 생각나는 게 사실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CPC에서는 노출과 상관없이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였지만 이젠 CPM으로 변경된다면 오직 노출수로 판단되기에 어그로성 포스팅들이 많이 발생할 것 같기도 합니다. 저는 더욱 포스팅 제목과 체류시간에 집중하여 좋은 글을 많이 발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3.09.24 - [분류 전체보기] - 수익형 블로그, 티스토리 vs 워드프레스 둘다 해본 후기

     

    수익형 블로그, 티스토리 vs 워드프레스 둘다 해본 후기

    오늘은 저의 블로그 경험을 적어볼까 합니다. 수익형 블로그를 시작한 지 3개월 정도 되었지만 수익이 아직 많이는 없는 점이 아쉽기는 합니다. 수익형 블로그를 이제 막 시작하시거나 앞으로의

    normenproject.tistory.com

     

    LIST